728x90
실행 결과를 출력할 때 문자, 숫자 등 다양하게 사용하는데
문자를 출력할 때 꿀팁?! 규칙?!이 있다.
1. 문자열은 영문 문자열뿐만 아니라 한글 문자열도 사용할 수 있다.
>>> hello = '너무 졸린데요?'
>>> hello
'너무 졸린데요?'
2. " "(큰따옴표)로 묶는 방법
>>> hello = "Hello, H4C!"
>>> hello
'Hello, H4C!'
3. ' ' '(작은따옴표 3개)로 묶거나 " " "(큰따옴표 3개)로 묶기
>>> hello = '''Hello, H4C!'''
>>> hello
'Hello, H4C!'
>>> python = """Python good"""
>>> python
'Python good'
4. (중요! 자주 헷갈림) 문자열을 사용하다 보면 문자열 안에 작은따옴표나 큰 따옴표를 넣는 방법과 순서가 헷갈린다.
먼저 문자열 안에 넣고 싶은 작은따옴표 or 큰 따옴표 중 선택해서 넣고 큰 범위에서 사용하지 않은 따옴표로 닫아주면 된다.
>>> s = "Python isn't bad"
>>> s
"Python isn't bad"
>>> a = 'He said "Python is soso"'
>>> a
'He said "Python is soso"'
728x90
'프로그래밍 > 파이썬 기본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NIT11. 튜플 , 시퀀스 자료형 활용하기 (0) | 2021.01.21 |
---|---|
UNIT10. 리스트와 튜플 사용하기 (0) | 2021.01.20 |
UNIT8. 비교, 논리 연산자 알아보기 (0) | 2021.01.20 |
파이썬 산술연산자 (0) | 2021.01.20 |
UNIT7. 출력 방법 알아보기 (0) | 2021.01.20 |